popup zone

교과목 해설

암호 이론 Cryptography
보안에 필수적인 암호이론을 전반적으로 체득하기 위하여 블록 암호 알고리즘 및 스트림 암호 알고리즘, 단일키 방식 암호시스템 및 공개키 방식 암호시스템, 전자서명 이론 등에 관하여 폭넓게 학습한다.
사이버 보안 총론 Cyber Security
사이버 보안 전반에 걸쳐 총체적으로 학습한다. 정보보호와 위험관리, 접근통제, 암호이론 개요, 물리적 환경적 보안, 보안 아키텍쳐, BCP/DRP, 정보통신 및 테트워크 보안, 응용시스템 보안, 운영 보안, 사이버 법률 및 조사분석 등 총괄적 내용을 다룬다.  
정보시스템 보안 관리 System Security Management
조직의 목표와 전략에 부합되는 시스템 보안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보안 원칙, 가이드라인, 표준 및 법령 등을 고찰하고 위험분석을 통한 보안 정책 수립과 계획의 시행, 통제 및 평가 제도를 학습하며 시스템 관리기법과 시큐리티 거버넌스 기법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유닉스 및 리눅스 보안 Unix/Linux Security
유닉스 및 리눅스의 커널 디렉토리, 패스워드 보안 메카니슴, 파일 보호 메카니슴, 로깅 메카니슴 및 각종 애프리케이션 등에 관한 유닉스 및 리눅스의 보안 기술을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정보 보안 보증론 Infor/Security Assurance
정보보안 관리 시스템(ISMS)의 개발, 평가, 인증, 위험분석 및 관리, 표준, 보안 정책, 감사, 인증서 취득, ISO 17799, ISO 13335 GMITS, GAISP, ITIL, Common Criteria 등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정보보호 세미나 Information Security Seminar
정보보호 이론 및 응용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세미나 형식으로 연구토록함으로써 지식의 폭을 넓히고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바이오 인식 응용 기술 Biometrics Security
지문, 손등정맥, 음성, 망막 등을 포함하는 Physiological Biometrics와 키스트로크 패턴, 사인 등을 포함하는 Behavioral Biometrics의 총체적인 내용과 각종 바이오 기기, 바이오 표준, 전자 여권 및 국제 동향 등을 심도 있게 학습한다.
시스템 보안 감사 및 시큐리티 거버넌스 Sys/Sec Audit & Governance
정보시스템 감사 절차, 계획 및 조직, 정보자산의 보호 재해 복구 및 사업의 지속성, 위험관리, 응용시스템 개발 및 유지관리, 운영통제, IT Security Governance 등을 학습한다.
암호 응용 I Advanced Cryptographic I
단일키 방식 암호 이론, 공개키 방식 암호 이론 등을 기반으로 키 생성, 키 분배, 키 관리, 전자서명, 메시지 인증, 암호 프로토콜 등에 관한 설계 및 분석 기법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암호 응용 II Advanced Cryptography II
암호 응용 I 에서 다루지 못한 내용을 추가하여 연구하고 특히 키 관리, 키 복구 이론, 암호화 정책 등 새로이 등장하는 첨단 이론을 중심으로 하는 응용시스템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데이터베이스 보안 Database Security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데이터 보안 모델, 질의어 제한, 다단계 보안 DBMS 및 추론 통제이론 등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학습한다.
정보보호 프로젝트 Security Project
팀을 구성하여 정보보호 세미나에서 다루어진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설계, 개발토록 프로젝트를 진행시키며 실무에 응용할 수 있는 실용적 능력을 배양한다.
산업보안 및 기업 비밀 보호 Industry & Trade Secret Security
첨단 기술을 위시한 산업기밀, 기업비밀에 관한 정보 수집, 각종 수집 수단,범행 실태, 사고 사례 및 산업 보안 법령 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범행 동향 및 대응책 등을 학습함으로써 소속된 직장과 조직의 보안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지식과 능력을 배양한다.
무선통신 및 보안 Wireless Comm. Security
CDMA, TDMA, SMS 등을 포함하는 1세대(1G), 2세대(2G), 3세대(3G) 4세대(4G) 무선통신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대한 취약성과 위협을 고찰하며 무선통신의 다양한 보안 대책을 학습한다.
사이버 포렌식 Privacy Security
U 사회와 개인정보, 개인정보의 침해 및 수집경로, 개인정보의 침해 실태, 방어 대책, 침해사고의 신고 및 피해구제,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법, 정보보호를 위한 인프라 강화 방안 등을 고찰하고 국내외의 개인정보보호 실태 등에 관하여 폭넓게 학습한다.
시큐어 OS Secure OS
시큐어 OS의 설계, 보안정책, 임프리먼테이션, 평가, Server 보안,OS 커널 등 OS에 관한 첨단 보안 기술을 심층적으로 학습한다.
정보보호 위험평가론 Security Risk Assessment
정보보호의 위험평가를 위한 기본적인 지식을 함양하고 각종 위험분석 기법을 비교 연구하며 적절한 표본을 추출하여 실습을 병행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위험분석의 전문성을 배양토록 한다.
기업보안 아키텍쳐 Enterprise Security Architecture
내부 또는 외부 보안 컨설턴트의 입장이 되어 보안방법론, 정보보호 관리, 정보보호 기술의 지식을 숙지하고 이를 총체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의 전사적 보안 아키텍쳐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인터넷 TCP/IP 보안 Internet TCP/IP Security
인터넷의 기본이론을 고찰하고 TCP/IP 프로토콜을 위시한 IP Security 전반에 대한 형황을 연구 고찰하고 차세대 인터넷 보안기술 및 업데이트 된 첨단기술을 학습한다.
시큐리티 엔지니어링 Security Engineering
S/W Engineering, Architectural Engineering 및 공학적 기본기량 등 보안 엔지니어링과 연계된 전문지식과 규율을 습득하고, NIST SP 800-27 Engineering Principles, Design Principles, SSE-CMM 및 신빙성 있는 분산시스템 구축을 위한 Security Engineering 기량을 폭 넓게 학습한다.
첨단 보안장비 연구 Cutting Edge Safeguards
보안장비의 발전 패턴을 고찰하고 최첨단 보안장비의 표본을 선정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함으로써 Safeguards 에 대한 내실화된 지식과 전문성을 함양토록 한다.
정보 및 부호 이론 Information & Coding Theory
암호시스템과 네트워크 보안 등을 이해하기 위한 정보의 수학적 정의 및 정보 엔트로피 등을 다루며 부호 이론과의 중첩 영역 등을 연구하고 학습한다.
사이버 윤리와 법률 Cyber Ethics & Law
건전한 정보사회의 윤리관 확립과 전문적 이론을 함양하고 정보범죄에 관한 모랄 리플렉션, 각종 윤리 헌장, 지적재산보호, 개인정보 보호, 비윤리적 범행에 관한 모니터링 및 사고 조사에 관한 국내외 법률을 학습한다.
사이버 테러와 대응 Cyber Terror & Security
지식정보사회로 발전하면서 파생되는 정보화 역기능 현상과 대응책에 관한 전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사이버 테러의 유형과 범행 실태 및 대응책에 관하여 고찰한다. 또한 국내외 정보전 현황에 대하여 학습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및 보안 Ubiquitous Computing Sec.
유비쿼터스 이론, U-아키텍쳐, 신기술 발전 전망 등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고찰하고 개인정보 보호, USN Security 등 유비쿼터스 사회의 첨단 보안 기술을 학습 한다.
응용시스템 보안 Application Security
특별히 Web Application을 중심으로 다루되 개발 당시부터 보안을 고려한 개발 방법론, 개발 정책 개발 도구 등을 고찰하고 각종 응용시스템의 보안을 폭넓게 학습한다.
IT제품보안평가론 1, 2 IT/Safeguards Evaluation, Assurance 1, 2
IT 보안제품에 대한 보안평가 기법 특히 Common Criteria 의 기준과 기법을 체득하고 IT 제품의 보안성을 전문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인력을 양성한다. 정보보호수습평가자 자격 취득을 위해 1과 2를 연속해서 강의를 한다.
사이버 범죄심리학 Cyber Criminal Psychology
일반 범죄심리학의 개요를 학습하고 사이버 범죄의 동기 및 행태 등을 사이버 범죄심리학적 차원에서 심층적으로 고찰하며 학습한다.
정수론 Integer Theory
정보보호 알고리즘 등을 이해하고 암호 관련 이론을 연구하기 위해 필요한 가본적인 정수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암호 알고리즘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정수론적 개념을 광범위하게 다룬다.
금융 보안 financial security
인터넷 비즈니스 및 전자상거래의 개요와 발전 현황을 고찰하고 위협 및 사고 사례를 포함한 전자상거래의 전반적인 보안기술과 지식을 학습한다.
정보보호 전략 / 정책론 Security Policy & Strategy
정보의 생산, 이용유통, 관리 등과 연관된 각종 정책 영역에 대한 추진 전략 및 정책을 고찰하고 그에 수반되는 정보보호의 국가적 전략과 정책을 연구하며, 국제적 동향에 대하여 학습한다.
정보통신 / 네트워크 보안 Telecomm/Net Security
데이터통신시스템, 전송방식, 부호화, 통신프로토콜 등의 정보통신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보호를 위한 네트워크 보안, 보안 프로토콜, 라우팅 등 전반적인 기술과 이론을 학습한다.
디지털 미디어 보안 Digital Media Security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Copy Protection 및 Watermarking 등을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전반에 관한 보안과 디지털 융합보안의 첨단 기술 등을 학습한다.

 

▸ 개인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보호법
▸ Cloud/Smart Syatem보안
▸ 정보보호특론
▸ 실시간 위험관리
▸ ISMS 인증방법론
▸ SecurityCloud / Big Data
▸ Cyber보안정책과 기술
▸ 정보보호컨설팅 실무
▸ 시스템개발보안(JABA)
▸ 정보보안컨설팅론
▸ 보안프로젝트수행체계
▸ 보안감리거버넌스
▸ 첨단 Safeguards
▸ 정보전 대응전략